Showing posts with label Kyunghee University.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Kyunghee University. Show all posts

Tuesday, May 12, 2015

추억쟁이

Visiting Kyunghee campus is a like a "pilgrimage" for me. Afterall, it's the place where most of my memories of Korea were made. Although many years have elapsed since I completed my study, my affection for the place has not waned. While the campus has not changed much, one of my 단골집 (frequently visited eating house) in Hoegi-dong has since changed hand. Feeling a sense of loss was inevitable but at least I could still have cheese 'galbi' rice as comfort.

Those familiar buildings, fountain and trees

Those stone lions, warm sunshine and spring spirit

A touch of Europe in one of the Hoegi-dong's alleys which I frequently used as shortcut

My favourite Omurice house has been taken over by Sulbing, sad.

The chicken steak house was under renovation. I couldn't have my favourite chicken steak set.

Fortunately, there was cheese "galbi" rice to relieve my nostalgia pang

Sunday, March 10, 2013

아기자기한 작은 카폐

An afternoon nostalgic walk on the streets outside Kyunghee University brought me to an environmental-friendly mom-and-pop cafe that serves vegetarian cakes and nice coffee. Once you step in, you can feel the passion of the two lady bosses operating this small but cosy cafe.

"How to be hot? Just drink and enjoy" Isn't that nice? For people who cannot take caffeine, there are non-caffeinated drinks like Roasted Barley Drink and Roasted Barley Drink - Latte. You can always expect something different from mom-and-pop cafe. Let's go in and check it out!

Cafe Half:Warehouse opens from Mon to Sat, 12:00 - 22:00. All desserts contain no butter, no egg, no milk. We are close on Sunday and public holidays. Our mission: Save the Earth. Lastly, "We will not harm you" (저희는 여러본을 해치지 않아요). Their manifesto sounds awesome, so much so that I must go in to say hi, lol. I support social enterprise that runs business with a heart!

Cafe Warehouse/2, 1/2F 42-54, Hoegidong, Dongdaemumgu, Seoul, Korea, EARTH


The tray and bowls are food and drink station for stray cats (길냥이). One bowl will be filled with lemon water and the other cat food during mealtime. Stray cats in the neighbourhood have learned to find their way there for their daily meals.

The main door is at street level but the cafe's door is at basement. There are several cute stickers above the door to warn you to be careful of your head but I think the likelihood of anyone of hitting his head is quite low.

Soy Choco Cake (소이초코케이크) made without milk, butter and egg, totally vegetarian. It is known as the "left arm" (왼팔) of the cafe, the "right arm" (오른팔)  I suppose is the Carrot Cake (당근케이크). What looks like cream in the middle is chocolate soy paste. Without animal-based ingredients added, the cake has a drier texture and not as spongy, but the feeling of eating the most healthy cake in the world is wonderful.

The air humidifier, wearing a pair of Rudolph's antlers, was hard at work, keeping the cafe's air moist and comfortable. The cool fog added a sense of warmth to the air.

No elaborate or flashy decor, just wood and bare concrete in this 50sqm space. Things are kept simple and natural. The most beautiful part of the cafe is the passion put in by the two lady owners


The post-it notes on the cardboard robot read: "팔 부러졌어요!" 눈으로만 봐주세요 ㅠㅠ. ("My arm is broken", please see with your eyes only). Every nook and cranny in the cafe is filled with pleasant little surprise like this.

Thursday, November 01, 2012

평화의 전당

Grand Peace Palace (평화의 전당, 和平殿堂)
Standing at a vantage point inside Kyunghee University's Seoul campus is a Gothic-inspired ornate building, which to the the uninitiated, could easily be mistaken as a cathedral. The Peace Palace (평화의 전당), as it is named, has a "stormy past", quite opposite of what its name may suggest.

Construction of the Peace Palace started on June 1976 but it was not until October 1999 that the building was officially open. From the start to completion, two decades was a long time to wait and the reason was not that of magnitude or difficulty in construction. According to my teacher, construction was halted due to security concern. Some classified building was said to be in the vicinity and the height of the Peace Palace was assessed a security threat. It was not until the classified building was moved that the construction was allowed to resume. The Peace Palace stood half-complete and unchange for many years and for that, it earned itself the nickname, "봉비누". "봉비누" is a kind of soap bar commonly seen in toilets in Korea. It is normally blue in colour and has a hole in the centre meant for insertion onto a metal holder. The interesting thing about this soap is, its egg-shape (except its size) does not change, no matter how much it is being used.



The Peace Palace occupying the vantage point in the campus
The Peace Palace is a prime venue for graduation ceremony, arts and cultural performance. With a seating capacity of 4,500, it is billed as the largest performance venue in Asia. The irony about this building is the public uses it more than the students of KHU. The only time I got to see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was when I bought a ticket to a musical staged there. As I entered the building, I was instantly overwhelmed. Everything about it, was nothing short of grandeur and splendour. Above the main entrance, which led into the grand hall, were these wordings - 《인간에겐 사랑을 인류에겐 평화를》 (Love to Human, Peace to Humanity).


Interior of the Peace Palace

For a good view of the building's interior, you can watch the following music video, by a new duet group, 15&, which was filmed there.


"I dream" by 15&
(Some thought after watching the video: How do you nurture talents? Give them a stage.)

Sunday, May 16, 2010

여름의 단풍

Orange maple leaves in summer - Picture taken in Kyunghee

I like to echo what one of my lecturers had said, "One thing good about being in Kyunghee is that you feel like you are in a forest."

Google Earth's satellite picture shows that Kyunghee is indeed less built-up than many other campuses. There are many empty spaces in between buildings which are meant for plants and trees.

I like a nice environment to study in and that's why I stuck with Kyunghee throughout. A bonus is that Kyunghee is also one of the top 10 universities in Korea. Perhaps, that also explains why its tuition fee is on the expensive side.

Saturday, April 03, 2010

벚꽃이 폈을 때

When the cherry blossoms were blooming, it was very difficult to concentrate on my lesson. There was this temptation to skip class and laze around at the fountain plaza. Not only was the cherry blossoms scenery beautiful, the sunshine was also very gentle.


Wednesday, March 17, 2010

Wednesday, January 27, 2010

본관

This is the main administrative building (본관, 本館) of KHU. I managed to get a very nice wide-angle view of it during late summer. Click on the picture to see the high-res (1920 x 1080) picture. I think high-res picture does better justice to the grandness of the building.

Monday, December 28, 2009

인터뷰

My life's first interview was given to the Internet Future Kyunghee (IFK) - a web-based newspaper of KHU. Last year August, a group of IFK's reporters visited Singapore and I was asked to have an interview with them to talk about my memory of Korea and KHU. To keep me company, I 'dragged' along 3 other friend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e lobby of Peninsula Hotel. After the interview, we treated our guests to chilli crab, pepper crab and cereal prawn at the Jumbo Restaurant in Dempsey Road.

Below is the article (edited) on the interview. I am not translating it because I think memory is more important than what was written.


싱가폴에서 따스운 경희를 느끼다 - 국제교육원 한국어과정 수료자

<인터넷 Future 경희 학생기자단 싱가포르 해외탐방>

해와 구름비가 번갈아 가며 인사하는 싱가포르. 특색이 없는듯함 속에서 큰 매력이 느껴지는 도시라는 사실은 싱가포르를 찬찬히 둘러보면 금방 느낄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을 켜보거나 상점에서 한국 드라마의 OST가 빈번하게 흘러나오는 것을 들으면 한류문화가 많은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에서부터 인터뷰 약속을 한 싱가포르의 동문들은 호텔로비에서 “안녕하세요~”라는 인사로 자연스레 알아볼 수 있었다. “만나서 반갑습니다.” 또박또박 한국어로 말하고 밝게 웃으며 우리를 반기는 이들. 바로 우리학교 국제교육원 한국어과정을 수료한 "봄", "여름", "가을", "겨울" 씨이다. 타국인이 느끼는 우리학교, 그리고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자세하게 들어보도록 하자.

인사를 하고 조금씩 대화 하다 보니 어느새 인터뷰는 친밀한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제 직업은 의사입니다. 제가 일하는 병원에 한국 환자가 많아요. 그들과 한국어로 대화하며 치료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한국어를 배우게 되었어요.”라고 말하는 여름 씨. 다인종 국가인 싱가포르에서 한국인의 비율이 늘어나며, 생활 속에서 한국어를 사용할 일이 많아 한국어 구사능력이 계속 늘고 있다며 환하게 웃는다.

이 어 고향과 같은 한국이라며 말문을 여는 봄 씨. 낯선 사람에게도 친절하게 말 걸어 주며 다가오는 한국의 첫 인상은 뚜렷이 기억난다고 한다. “처음 한국에 갔을 때 많은 짐을 가지고 한국을 찾았어요. 땀도 많이 흘리고, 힘들었는데 지하철에서 아줌마, 아저씨가 친절하게 짐도 들어주고, 자리까지 마련해줬어요. 그때 느꼈습니다. ‘아! 한국은 참 따뜻한 동네구나.’ 계속해서 한국어를 공부하게 된 시작점이었어요.” 그 때의 따스함은 아직도 잊을 수 없다며 한국어 공부를 할 때 종종 그 시절을 회상하곤 한단다.

그럼 그들이 느끼는 경희대 국제교육원의 생활은 어떨까? “한국어를 배우고 문법을 더 자세하게 배울 수 있어서 좋았어요. 싱가포르에서 배울 수 없는 것을 느꼈죠.” 봄 씨는 더 깊은 한국어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한국에서의 생활은 꿀맛 같은 시간이었다고. 봄 씨는 이번 여름에도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에서 한국어 중급과정을 마치고 돌아왔다. “하숙집에 에어컨이 없어 정말 덥기도 하고, 말이 안 통할 때는 답답하기도 하지만, 그래도 휴가를 이용해 한국에서 공부를 마치고 돌아오면 좋아요.” 그의 한국어에 관한 열정은 부족한 환경은 별로 중요하지 않아 보였다.

한국에서의 생활 중 많은 것이 기억에 남지만 그중 최고는 문화생활 이었다고 모두가 한 목소리로 말한다. “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1시부터 오후 9시까지 나올 수 없었어요. 정말 신기하더라고요. 한국의 백자는 심플함 속에서 큰 화려함을 느낄 수 있었어요. 여백의 미라는 것. 한국의 매력이었죠.” 라며 즐거운 목소리로 이야기 하는 여름 양. 집에 왔을 때는 너무나 피곤했지만, 한국의 문화를 한층 더 가까이 접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었다며 뿌듯해했다. “갈비도 정말 맛있고, 드라마도 재밌어요. 한국 정말 좋아요.” 그들은 이미 한국에 푹 빠져 있었다.

이들은 싱가포르 속에서도 계속해서 한국어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었다. 이렇게 한국어를 유창하게 소화해내는 그들이 갖고 있는 한국어 공부법은 무엇일까? “전 한국가수 신화의 김동완 씨 팬이에요. 한국에는 신화 콘서트가 있을 때마다 매번 가요. 관심분야가 한국이니까 접하는 것이 한국어라 자연스레 잘하게 되는 것 같아요.” 매일 드라마와 가요를 한국어로 접하다 보니 어느새 이 곳 까지 왔다는 가을 씨. 이들의 비법은 관심과 뜨거운 열정이 바탕이 된 듯 했다.

마지막으로, 경희대학교 학생들에게 하고 싶은 말을 묻자, 가을 씨는 감동에 젖으며 대답한다. “직장인이라 1주일의 시간을 내어 경희대학교에 등록을 했었습니다. 일주일이었지만 친절하게 대해주셔서 정말 감사했습니다.” 라며 처음 찾아간 한국에서의 즐거운 생활은 경희대학교 덕분이라는 그녀. 또한 모두들 고개를 끄덕이며, 따뜻하고 친절한 한국을 회상하며 인터뷰를 마칠 수 있었다. “한국어 열심히 공부해서 또 경희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싶습니다. 그때에도 반갑게 맞아주세요.” 싱가포르인들에게 경희에서의 추억은 한국의 따스함을 느낄 수 있는 기억이 아닐까.

인터넷 Future 경희 - 2008.09.03

___________________________

Next, is an interview done by the same group of IFK reporters with my SKS's Korean teacher. She was asked for the interview because she was a Masters student in Korean Studies with Kyunghee Cyber University. She may be known to be a strict teacher (사실은 그렇게 무서운 선생님이 아니던데요) but she is also appreciated for her dedication towards the teaching of Korean language.

Again, I won't translate the interview except for one line which my teacher said. "Your strongest ally is your determination to achieve your goal."


한국어로 가르치는 한국, 경희대학교 - 연현동문 (사이버대 한국어문화학과 04)

'가장 강한 아군은 바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지예요. 확실한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는다면 좋은 결과가 돌아올 것입니다.' 7년째 싱가포르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연현(사이버대 한국어문화학과04)동문의 말이다.

<인터넷 Future 경희 학생기자단 싱가포르 해외탐방>

우리나라의 서울 크기 정도의 작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으로 큰 성공을 일구어 낸 싱가포르. 그래서인지 싱가포르 어느 곳을 가건 많은 사람들이 분주하게 오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싱가포르의 중심가에서 올해로 벌써 7년 째 한국어를 가르치며 어느 누구 못지 않게 바쁜 매일을 보내고 있는 연현(사이버대 한국어문화학과 04)동문을 만났다.

2002년, 딸이 싱가포르에서 유학을 하게 된 것을 계기로 싱가포르에서 살게 되었다는 연현 동문. "한국에서는 영어강사로 일하고 있었어요. 싱가포르는 영어가 공용어이니 영어를 가르칠 필요는 없고, 어떻게 이 스킬을 활용할 지 고민하다가 싱가포르 사람들을 상대로 한국어를 가르쳐 보는 게 어떨까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죠." 처음 한국어를 가르치기 시작했을 당시에는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많지 않아 일주일에 겨우 한 번 수업을 하는 정도였다고. 하지만 싱가포르에도 한류열풍이 불면서 점차 학생 수가 늘어갔다.

수업을 시작한지 2년이 지났을 때쯤 한국 대사관과 연계된 한국 학교에서 운영하는 한국어교육시설에서 한국어를 가르쳐달라는 의뢰가 들어왔다. “한국어교사로서 수업을 하게 되었지만 한국어교육을 전공하지 않았기 때문에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있어 약간의 한계를 느꼈습니다. 외국에 거주하고 있는지라 마땅히 한국어교육에 대한 공부를 할 수 있는 곳이 없어서 고심하던 찰나에 경희사 이버대의 한국어문화학과를 알게 되었지요.” 사이버대 한국어문화학과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한국어 교사와 한국어 및 한국문화전문가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커리큘럼을 운영하고 있는 학과이다. 연현 동문은 이곳에서 교육과정을 이수하면서 한국어 교사로서 그 전문성을 더욱 높일 수 있었다고 말한다.

현재 싱가포르 한국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는 모두 우리학교 국제교육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렇게 되기까지에도 연현 동문의 많은 노력이 있었다. “좋은 수업의 기본은 좋은 교재예요. 우리학교 국제교육원에서 발간되는 교재의 경우, 기본에 충실하면서도 학생들로 하여금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익힐 수 있도록 아주 잘 짜여있답니다. 그래서 일부러 기존에 사용하던 교재를 모두 우리학교 교재로 바꾸었어요. 물론 모교에 대한 애정도 조금은 섞여있겠죠?(웃음)”

싱가포르 한국학교에서 한국어능력시험(TOPIK)을 응시할 수 있게 된 이후로 매번 50~60명의 현지 학생들이 시험에 응시하고 있고 이중 60% 이상은 한국 학교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는 재학생들이라고 한다. 또한 우리학교 국제교육원에 한국어를 배우러 가는 학생도 매년 2~3명 정도 있다고. “여기서 한국 학교뿐만 아니라 항공사, 한국 대기업의 싱가포르 지사 등에서도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습니다. 점점 한국어에 대한 수요가 늘어가고 있는 거죠. 한국인으로서 정말 뿌듯하고 기쁜 일이랍니다.” 6~7년 전만 해도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찾아오는 학생들은 주로 한국 드라마 팬인 아줌마 층이 많았지만 어느 샌가 다양한 학생들이 체계적으로 한국어를 배우기 위해 찾아오고 있다. “특히 한국어를 배우려는 남학생의 수가 는 것이 주목할 부분이에요. 단순히 취미가 아닌 출장, 비즈니스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이 늘어나고 있다는 반증입니다.”

학교에서 만날 때면 연 동문에게 달려와 어제 본 한국 드라마와 쇼프로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는 싱가포르 학생들. 그녀는 자신보다 더 한국 방송에 대해 잘 알고,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볼 때면 놀라움 반, 기쁨 반이라고 말한다. “사실 저는 학교에서 엄한 선생님으로 통해요. 재미있게 가르치는 것도 좋지만 제대로 가르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또한 한국어를 소개하면서 한국 문화도 동시에 전수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연 동문은 대학 진학, 비즈니스, 연예인 지망 등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생들의 목표에 맞는 한국어를 가르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사이버대학에서 공부하는 동안,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것이 무엇보다 힘들었다는 연 동문. “가장 강한 아군은 바로 목표를 달성하려는 의지예요. 확실한 계획을 세우고 그것을 위해 도전을 멈추지 않는다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돌아올 것입니다.” 그녀에게 다음 목표에 대해 물어보았다. “싱가포르에는 폴리테크닉이라고 하는 전문학교가 있어요. 그곳에서 한국어 교사를 하는 것이 제 목표입니다.” 머나먼 싱가포르에서 한국과 한국어를 알리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는 연현 동문. 그녀를 통해 더욱 많은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 애정을 갖고 한국에 대해 공부할 수 있는 기회를 갖길 기대해본다.

인터넷 Future 경희 - 2008.09.16

Sunday, November 29, 2009

여름, 겨울방학

There is no winter or summer holiday for language students. When most of the students left for their holiday we only had the stone lion in the courtyard to keep us company. The lion must be quite 'lonely' every winter and summer.

In Summer

In Winter

Saturday, November 28, 2009

섹시한 이웃집 언니 - 이효리

Lee Hyori wants people to know her as the sexy elder sister who lives next door. She knows quite well the basis of her vast popularity in Korea and perhaps China. She 'alternates' with ease what may seem as two incompatible images - a sexy stage image and a girl-next-door image in "Family Outing" (a popular reality show in Korea). She probably has all grounds covered - the youngs or olds, trendy or retro, men or women, singles or married, liberals or conservatives.

She was at the KHU's 60th Anniversary Concert. According to her, it was the first time she performed in a school concert. She is currently a Masters student with KHU so her appearance came as no big surprise.


국민요정 - 손담비

"국민요정" (國民妖精) is a term previously used to describe Lee Hyori. To deserve the prefix "국민" (national), one has to be first a national icon with widespread popularity. "요정" means someone who is capable of casting magic and making people spellbound. Son Dambi might just have what it takes to be the next "국민요정".


Friday, November 27, 2009

걸 그룹 - 애프터 스쿨

Immediately after "After School" finished singing "Ah", the stadium ruptured into a deafening chanting of "Diva, Diva, Diva..." (Diva was their new song then). They obliged with the request and everyone joined in the singing of "오늘 밤 매일 밤..." or something like that. They won the audience over with their fast tracks and energetic dance moves.

One of their members, Uee, is all the rage now for her "honey thigh" (꿀허벅지). I think it means fleshy and well-toned thigh. No picture of her honey thigh though because she wore pants during the concert.


할리우드 스타 - 비

When Rain showed up at the KHU's 60th Anniversary Concert, he brought along 'lightning' and 'thunder' - the atmosphere was electrifying and the fans' screaming thunderous. More than 50,000 people were on their feet as he sang. It was one unforgettable concert.

Rain is back again. Many people would be eager to see his unsalted chicken meat and vegetables diet-sculpted body in "Ninja Assassin".


Friday, November 20, 2009

가장 좋은 반 사진

After going through many class photos, I have concluded that the best place to take class photo in KHU is at the left stone lion in front of the main admin building (see photo above). By the way, the photo is not my class photo. It belongs to Class 14 of Winte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