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nesday, September 26, 2007

등화가친 시절

등화가친(燈火可親) 이라는 말은, 당(唐)나라의 유명한 문학가 한유(韓愈)가 그 아들 부(符)가 장안성(長安城) 남쪽에서 독서(讀書)하고 있을 때 아들에게 열심히 공부하라고 권하는 시 속에 나오는 구절이다. 원시(原詩)의 제목은 부독서성남(符讀書城南) 이다. 그래서 등화가친지절(燈火可親之節) 이라는 말은 독서의 가장 좋은 계절을 나타낸다. 독서의 가장 좋은 계절은 물론 가을이다.

The phrase 등화가친(燈火可親) originated from a poem written by a famous Tang dynasty scholar - Hanyu. At the time the poem was written, Hanyu's son was studying at the southern side of the Chang-an city. The poem was meant to remind his son to study hard. Hence 등화가친지절(燈火可親之節) is used to mean the best season for reading which is, of course, Autumn.

2 comments:

  1. 符读书城南 【韩愈】

    木之就规矩,在梓匠轮舆。
    人之能为人,由腹有诗书。
    诗书勤乃有,不勤腹空虚。
    欲知学之力,贤愚同一初。
    由其不能学,所入遂异闾。
    两家各生子,提孩巧相如。
    少长聚嬉戏,不殊同队鱼。
    年至十二三,头角稍相疏。
    二十渐乖张,清沟映污渠。
    三十骨骼成,乃一龙一猪。
    飞黄腾踏去,不能顾蟾蜍。
    一为马前卒,鞭背生虫蛆。
    一为公与相,潭潭府中居。
    问之何因尔,学与不学欤。
    金璧虽重宝,费用难贮储。
    学问藏之身,身在则有馀。
    君子与小人,不系父母且。
    不见公与相,起身自犁鉏。
    不见三公后,寒饥出无驴。
    文章岂不贵,经训乃菑畬。
    潢潦无根源,朝满夕已除。
    人不通古今,马牛而襟裾。
    行身陷不义,况望多名誉。
    时秋积雨霁,新凉入郊墟。
    灯火稍可亲,简编可卷舒。
    岂不旦夕念,为尔惜居诸。
    恩义有相夺,作诗劝踌躇。

    ReplyDelete